하세가와 요시미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육군 대장, 조선 주둔군 사령관, 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1916년에는 제2대 조선 총독을 지냈다. 1850년 이와쿠니번에서 태어나 군인으로 임관하여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 참전하며 공을 세웠고, 1904년 조선 주둔군 사령관으로 부임하여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조선 총독 재임 중 3·1 운동을 겪으며 무단 통치를 시행했고, 이후 백작 작위를 받았다. 1924년 사망했으며, 아오야마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이와쿠니번 사람 - 깃카와 쓰네타케
깃카와 쓰네타케는 이와쿠니번의 마지막 번주이자 일본의 화족으로, 보신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지번사와 남작, 자작을 지내며 구 번사들의 자립을 지원했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은 일본의 황족이자 해군 군인으로, 후시미노미야 23대 당주, 해군 대장, 해군 군령부 총장을 역임하며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함대파 지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파기 주장 등 태평양 전쟁 개전 직전까지 일본 해군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 조선 총독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조선 총독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하세가와 요시미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하세가와 요시미치 |
원어 이름 | 長谷川 好道 |
출생일 | 1850년 10월 1일 |
사망일 | 1924년 1월 27일 |
출생지 | 일본 스오 국 구카 군 이와쿠니 번 |
사망지 | 일본 도쿄 |
소속 | 이와쿠니 번 정의대,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71년 ~ 1916년 |
최종 계급 | 일본 제국 육군 원수 육군 대장 |
묘소 | 아오야마 묘지 |
군사 경력 | |
복무 | 일본 제국 육군 |
참전 전투 | 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
주요 보직 | |
직책 | 일본 제국 육군 참모총장 |
임기 시작 | 1912년 1월 20일 |
임기 종료 | 1915년 12월 17일 |
이전 | 오쿠 야스카타 |
이후 | 우에하라 유사쿠 |
조선총독 | |
직책 | 조선총독 |
임기 시작 | 1916년 10월 |
임기 종료 | 1919년 |
이전 | 데라우치 마사타케 |
이후 | 사이토 마코토 |
훈장 | |
훈장 내역 | 금치훈장 1등 금치훈장 3등 국화장 수장 금치훈장 적취훈장 대한제국 금척대훈장 대한제국 서성대훈장 |
2. 생애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1850년(가에이 3년) 10월 1일, 조슈번의 지번인 이와쿠니번 무사 하세가와 토지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검술 사범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검술을 연마했다. 보신 전쟁에는 정의대 소대장으로 참전했다.
메이지 이후에는 오사카 병학교 학생이 되었고, 1871년(메이지 4년) 8월에는 육군 소위 수습, 같은 해 12월에는 육군 대위·5번 대대장이 되었다. 1872년(메이지 5년) 4월에는 육군 소좌, 이듬해 5월에는 보병 제1연대장 수습, 같은 해 6월에는 중좌로 세이난 전쟁에 참전했다. 전후에는 히로시마 진대 보병 제11연대장, 동 진대 참모, 오사카 진대 참모장, 중부 감군부 참모를 거쳐 육군 대좌로 승진했다.
1885년(메이지 18년) 프랑스 파견을 명령받았고, 이듬해인 1886년(메이지 19년) 12월에는 육군 소장·보병 제12여단장으로 승진했다. 보병 제12여단장 재직 시절 일청 전쟁에 출정하여 여순 공격에서 전공을 세웠다.
1895년(메이지 28년), 군공으로 남작을 받아 화족이 되었다. 1896년(메이지 29년) 6월에는 육군 중장으로 승진하여 제3사단장, 1898년(메이지 31년)에는 근위사단장이 되었다. 일러 전쟁에서는 압록강 회전, 요양 회전 등에서 선전했다. 1904년(메이지 37년) 6월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 9월에는 한국주차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1906년(메이지 39년) 4월에는 훈일등 금치훈장을 수상했고, 이듬해 9월에는 자작으로 승작했다. 1908년(메이지 41년) 군사참의관을 거쳐, 1912년(메이지 45년) 1월 20일에는 참모총장이 되었다. 1915년(다이쇼 4년)에는 원수부에 들었다.
1916년(다이쇼 5년) 10월 16일,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후임으로 조선총독에 취임했다.[2] 총독 재임 중 조선에서 발생한 삼일 독립 운동에 대해 군대를 동원하여 진압한 것이 무단 통치로 비판받았고, 조선 토지 조사 사업을 완료했지만, 불과 3년 만에 사이토 마코토에게 교체되었다.
1924년(다이쇼 13년) 1월 28일 사망했다. 묘소는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오야마 아오야마 묘원(1로 4-6을 7,8).
2. 1. 젊은 시절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1850년 스오국 이와쿠니 번사 하세가와 도지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초대 조선총독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케와는 동향 출신이다. 어릴 적 검술 사범이었던 아버지에게서 검도를 배웠으며, 가난한 하급무사 집안 출신이었지만 군인이 되어 병사로 복무하다 장교가 되었다.1871년 일본군 육군 소위가 되었고, 보신 전쟁 때는 조슈번 정의대 소대장으로 참전했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오사카 군사학교(일본 육군사관학교의 전신) 학생이 되었고, 같은 해 12월 육군 대위와 5번대대장을 맡았다.
1868년 1월부터 3월까지 메이지 유신으로 에도 막부를 타도하는 조슈군에 복무했다. 1871년 일본제국육군이 창설되자 대위로 임관되었다. 이후 소좌로 승진하여 연대를 지휘하며 사쓰마의 난에 참전했고, 1877년 4월 14일 구마모토성 구원 작전에 참가했다.[1]
1885년 유럽의 군사 전략, 군사 전술 및 장비를 연구하기 위해 프랑스로 군사 참관원으로 파견되었다. 다음 해 일본으로 돌아온 후 중장으로 승진했다.[1]
2. 2. 군대 경력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1871년 일본군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보신 전쟁에 참전하였고,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인 오사카 군사학교 학생이 되었다. 같은 해 육군 대위와 5번 대대장을 맡았다.[1] 1872년에는 육군 소좌, 1873년에는 중좌로 승진하며 세이난 전쟁에 종군했다.[1]
세이난 전쟁 이후, 하세가와는 히로시마 진다이 보병 제11연대장, 히로시마 진다이 참모, 오사카 진다이 참모장, 중부감군부 참모 등 여러 직책을 거치며 육군 대좌로 승진했다.[1] 1885년에는 프랑스에 파견되어 주차 프랑스 주재 일본대사관 무관으로 근무했고, 1886년에는 육군 소장 및 보병 제12여단장에 임명되었다.[1]
1894년 청일 전쟁 당시 보병 제12여단장으로서 뤼순 공격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1] 1895년에는 이러한 군공으로 남작 작위를 받았다.[1] 1896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육군 제3사단장을 지냈고, 1898년에는 근위사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1] 러일 전쟁에서는 근위사단장으로서 압록강 전투, 요양 회전 등 여러 작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1]
1904년 6월, 하세가와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 9월부터 1908년 12월까지 조선군 사령관을 역임했다.[1] 1907년에는 자작 작위로 승격되었다.[1] 1912년에는 일본제국육군참모본부의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1] 1915년에는 원수 칭호를 받았다.[1] 1916년에는 백작 작위로 승격되었다.[1]
2. 3. 조선 주둔군 사령관
1904년 9월, 러일 전쟁에서 압록강 회전과 랴오양 회전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9] 같은 해 6월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조선 주둔군 사령관으로 재직하면서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대훈위 금척대수장과 대훈위 이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이후에도 계속 유임되었다.1906년과 1908년에는 임시 통감 대리와 군사 참의관 직책을 겸임하기도 했다. 1904년 9월부터 1908년 12월까지 조선 주둔군 사령관을 역임했다.[1]
2. 4. 조선 총독과 3.1 운동 진압
1916년 10월 14일, 하세가와는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뒤를 이어 조선 총독 자리에 올랐다.[2] 그는 총독 재임 중 한국에서 일어난 3·1 운동을 군대를 동원하여 진압하였는데, 이는 무단 통치로 비판받았다.[30] 조선 토지 조사 사업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3·1 운동의 여파로 불과 3년 만에 사이토 마코토로 교체되었다.
하세가와는 처음에는 무력 강경 진압을 계획했지만, 3·1 운동 당시 강경책과 유화책을 동시에 썼다. 조선인 중에서도 만세 시위를 자제하자는 운동이 있어 이를 지원하기도 했다. 박중양 등은 자제단을 만들어 만세 시위를 해산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 사건 등 기독교인 학살 사건으로 일본인 기독교도들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결국 3·1 운동의 여파로 해임된 뒤 귀국, 요직에 등용되지 못하고 여생을 보냈다.
2. 5. 총독부 정책 변화
초대 총독인 데라우치 마사타케 시절, 총독부의 지배 정책은 무단 통치였다. 헌병을 배치하고 치안을 바로잡는 강력한 초기 단계의 지배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1차 대전 이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인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은 조선 민중들에 의해 3·1 운동이 일어나자 기존 지배 시스템의 한계와 허점을 파악하고 이를 절충 보완한 게 문화 통치다. 하세가와 시절 이후로 총독부는 문화 통치로 지배 시스템 전환을 꾀한다. 문화 통치란 조선 시민들을 문화적으로 설득시켜 일제 시스템에 융화시키는 일명 회유책으로 조선 민중들의 저항 의지를 분열시키고 약체화하는 정책이었다. 이러한 회유책으로 변절자가 된 친일파가 수치적으로 대거 늘어나는 계기가 되었다.[1]2. 6. 말년
1916년 10월 14일, 하세가와는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뒤를 이어 조선 총독이 되었다.[2] 그는 조선 총독으로 있으면서 3·1 운동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등 무단 통치를 펼쳐 비판받았다. 토지 조사 사업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3년 만에 사이토 마코토로 교체되었다.[30]3·1 운동 당시, 하세가와는 처음에는 무력 강경 진압을 계획했지만 강경책과 유화책을 동시에 사용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만세 시위를 자제하자는 운동을 벌였고, 하세가와는 이를 지원하기도 했다. 박중양 등은 자제단을 만들어 만세 시위 해산을 시도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 사건과 같이 기독교인 학살 사건이 발생하면서 일본 내 기독교인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결국 3·1 운동의 여파로 해임된 후 일본으로 돌아갔고, 이후 요직에 등용되지 못한 채 여생을 보냈다.
1924년 1월 27일 사망했으며, 유해는 도쿄도 아오야마 영원에 안장되었다.
3. 평가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조선총독으로 재임 중 삼일 운동에 대한 강경한 군사적 대응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1]
4. 상훈
훈장 |
---|
1878년 훈사등 욱일소수장[5] |
1885년 훈삼등 욱일중수장[5][13] |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발포기념장[14] |
1894년 훈이등 서보장[5][15] |
1895년 남작 · 공삼급 금계훈장 · 욱일중광장[5][16] |
1902년 훈일등 서보장[5][17] |
1905년 욱일대수장[5][18] |
1906년 공일급 금계훈장 · 욱일동화대수장[5] · 메이지 삼십칠팔년 종군기장[19] |
1907년 자작[5][20] |
1908년 금배일조[21] |
1909년 황태자도한기념장[22] |
1915년 11월 7일 다이쇼삼사년 종군기장[24] · 11월 10일 대례기념장[25] |
1916년 백작[5][26] |
1919년 전첩기장[27] |
1920년 금배일조 · 다이쇼삼년내지구년전역 종군기장[28] |
1924년 대훈위 욱화대수장[12] |
외국 훈장 |
1907년 3월 12일 대한제국 대훈위 서성대수장 · 8월 27일 대훈위 금척대수장 |
5. 가족 관계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아들이 없어 이노사부로를 양자로 삼았다.[3] 이노사부로는 일본 육군사관학교 3기 졸업생으로, 후에 육군 소장으로 승진했다.[3]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
간행물
官報
1916-10-18
[3]
웹사이트
人事興信録データベース
http://jahis.law.nag[...]
[4]
서적
昭和の軍閥
中央公論社
[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元帥陸軍大将伯爵長谷川好道特旨叙位ノ件
[6]
간행물
官報
1886-11-20
[7]
간행물
官報
1892-04-02
[8]
간행물
官報
1897-06-01
[9]
간행물
官報
1902-08-21
[10]
간행물
官報
1907-08-31
[11]
간행물
官報
1914-09-11
[12]
간행물
官報
1924-01-30
[13]
간행물
官報
1885-05-08
[14]
간행물
官報
1889-12-02
[15]
간행물
官報
1894-05-30
[16]
간행물
官報
1895-08-21
[17]
간행물
官報
1902-06-02
[18]
간행물
官報
1905-05-31
[19]
간행물
官報
1906-12-30
[20]
간행물
官報
1907-09-23
[21]
간행물
官報
1909-07-06
[22]
간행물
官報
1909-05-24
[23]
간행물
官報
1915-01-11
[24]
간행물
官報
1916-07-24
[25]
간행물
官報
1916-12-13
[26]
간행물
官報
1916-07-15
[27]
간행물
官報
1922-04-10
[28]
간행물
官報
1921-04-19
[29]
간행물
내일을 여는 역사
[30]
간행물
내일을 여는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